Created at : 2024-09-02 10:18
Auther: Soo.Y
2. 기본 문법
파이썬의 기본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변수, 데이터 타입, 연산자 등 파이썬의 기초 문법을 다룹니다. 이 내용을 통해 파이썬에서 코드가 어떻게 작성되고 실행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2.1 주석(Comment)
주석은 코드 내에 설명을 추가할 때 사용됩니다. 주석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만듭니다.
- 한 줄 주석:
#
기호로 시작하며, 해당 줄의 끝까지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 이 코드는 "Hello, World!"를 출력합니다.
print("Hello, World!")
- 여러 줄 주석: 여러 줄에 걸친 주석은 보통 문자열을 사용하여 작성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사용해 주석을 남기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
또는'''
로 감싸진 문자열을 사용합니다.
"""
이 부분은 여러 줄에 걸쳐 있는 주석입니다.
프로그램 설명이나 함수 설명에 주로 사용됩니다.
"""
print("Hello, World!")
2.2 변수(Variables)와 데이터 타입(Data Types)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름을 가진 메모리 공간입니다.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별도의 타입을 명시하지 않고, 값을 할당하면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이 결정됩니다.
- 변수 선언과 할당:
x = 10 # 정수형(int)
y = 3.14 # 실수형(float)
name = "Alice" # 문자열(str)
is_student = True # 불리언(bool)
- 기본 데이터 타입:
- 정수(int): 정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age = 25
- 실수(float): 소수점을 포함한 실수를 나타냅니다.
height = 175.5
- 문자열(str):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묶어 표현합니다.
greeting = "Hello, World!"
- 불리언(bool):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나타내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is_raining = False
2.3 연산자(Operators)
연산자는 변수나 값에 대해 산술, 비교, 논리 연산 등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 산술 연산자: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입니다.
a = 10
b = 3
print(a + b) # 더하기: 13
print(a - b) # 빼기: 7
print(a * b) # 곱하기: 30
print(a / b) # 나누기: 3.3333...
print(a % b) # 나머지: 1
print(a ** b) # 거듭제곱: 1000
print(a // b) # 몫: 3
- 비교 연산자: 두 값을 비교하여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반환합니다.
print(a == b) # 같은가? False
print(a != b) # 다른가? True
print(a > b) # 큰가? True
print(a < b) # 작은가? False
print(a >= b) # 크거나 같은가? True
print(a <= b) # 작거나 같은가? False
- 논리 연산자: 논리 값을 결합하여 새로운 논리 값을 생성합니다.
x = True
y = False
print(x and y) # 논리 AND: False
print(x or y) # 논리 OR: True
print(not x) # 논리 NOT: False
- 할당 연산자: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합니다.
x = 5 # x에 5를 할당
x += 3 # x = x + 3과 동일, x는 이제 8
x -= 2 # x = x - 2와 동일, x는 이제 6
x *= 4 # x = x * 4와 동일, x는 이제 24
x /= 3 # x = x / 3과 동일, x는 이제 8.0
x %= 5 # x = x % 5와 동일, x는 이제 3.0
x **= 2 # x = x ** 2와 동일, x는 이제 9.0
x //= 3 # x = x // 3와 동일, x는 이제 3.0
2.4 문자열(String) 처리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매우 중요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문자열을 다루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문자열 연결:
first_name = "John"
last_name = "Doe"
full_name = first_name + " " + last_name # 문자열 연결
print(full_name) # 출력: John Doe
- 문자열 반복:
word = "Hello"
repeated_word = word * 3
print(repeated_word) # 출력: HelloHelloHello
- 문자열 길이 확인:
greeting = "Hello, World!"
print(len(greeting)) # 출력: 13
-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text = "Python"
print(text[0]) # 출력: P (첫 번째 문자)
print(text[-1]) # 출력: n (마지막 문자)
print(text[0:2]) # 출력: Py (0번째부터 2번째 전까지)
print(text[2:]) # 출력: thon (2번째부터 끝까지)
print(text[:2]) # 출력: Py (처음부터 2번째 전까지)
- 문자열 메서드:
greeting = "hello, world!"
print(greeting.upper()) # 대문자로 변환: HELLO, WORLD!
print(greeting.capitalize()) # 첫 글자를 대문자로 변환: Hello, world!
print(greeting.replace("world", "Python")) # 문자열 치환: hello, Python!
2.5 입력과 출력(Input and Output)
파이썬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입력받기: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print("안녕하세요, " + name + "님!")
- 출력하기:
age = 25
print("나이는", age, "살입니다.")
- 형식화된 문자열 출력:
name = "Alice"
age = 30
print(f"{name}는 {age}살입니다.") # 출력: Alice는 30살입니다.
2.6 파이썬의 키워드
파이썬에는 예약어(키워드)가 있으며, 이 키워드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몇 가지 주요 키워드에는 if
, else
, for
, while
, def
, class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키워드는 파이썬의 문법 구조를 정의합니다.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 파이썬의 모든 키워드 리스트 출력